JS
[JS] JavaScript 개념 요약 (반복문부터)
coco030030
2025. 4. 9. 17:13
🔁 반복문 (forEach / while / do while)
forEach
- 무엇에 쓰는가? → 배열 하나하나 반복하면서 무언가 하기
- for문과의 차이점?
- for문은
초기값; 조건; 증가식
필요함 → 신경 쓸 게 많음 forEach
는 “배열을 순회하면서 자동으로 요소 하나씩 넘겨줌”
- for문은
- 인덱스 접근?
- 자동으로 넘겨준 걸로 처리 → 인덱스도 같이 받으려면 두 번째 인자에 받음
let a = [10, 20, 30]; a.forEach(function(tmp) { console.log(tmp); });
내 방식으로 요약하면
: 배열 요소를 하나씩 꺼내서 그 요소 하나당 반복한다. for문과 다르게 for문 옆에 붙는 (초기,조건,증감식)속 내용이 필요 없다.
let 배열이름 = [/* 배열 요소들 */]; // 배열을 만들고
배열이름.forEach(function(요소-변수 이름 짓기-) { // 요소의 변수이름을 지어주고
console.log(요소); // 배열의 각 "요소" 를 console.log 로 출력
});
🧠 핵심 기억 포인트:
배열을 돌 때, 굳이 인덱스 안 써도 되게 도와주는 편한 반복문
while
- 언제 쓰는가? → 조건이 맞을 동안 계속 반복하고 싶을 때
- 형태는?
while (조건) { // 반복할 코드 }
- 예시: 무한루프 만들기
while (true) { if (a > 10) break; }
🧠 핵심 기억 포인트:
반복 횟수를 모를 때 or 어떤 조건을 계속 체크해야 할 때 쓴다
do while
- 차이점은 단 하나:
일단 한 번은 무조건 실행됨do { // 실행 } while (조건);
while
은 처음 조건이 false면 아무것도 안 함do while
은 먼저 실행 → 조건 검사
🧠 핵심 기억 포인트:
“무조건 한 번은 해야 돼!” 상황에 씀 (ex. 사용자에게 한번은 입력 받기)
❌ break / continue
break
: 반복문 즉시 종료for (let i = 1; i <= 10; i++) { if (i == 5) break; console.log(i); // 1~4만 출력됨 }
continue
: 이번 루프 건너뛰고 다음 루프로 감for (let i = 1; i <= 10; i++) { if (i % 2 === 0) continue; console.log(i); // 홀수만 출력 }
🧠 핵심 기억 포인트:
break
: 나가자continue
: 건너뛰자
🧩 배열
배열 선언하는 2가지 방법
new
키워드 사용:let a = new Array(1, 2, 3);
- 리터럴 방식 (이게 훨씬 일반적)
let a = [1, 2, 3];
일반변수 vs 배열변수
구분 | 일반 변수 | 배열 |
---|---|---|
저장 가능 값 | 한 개 | 여러 개 |
접근 방식 | 변수명 | 배열명[인덱스] |
배열 초기화 방법
let numbers = [1, 2, 3]; // 즉시 초기화
let numbers2 = new Array(5); // 크기만 설정
for (let i = 0; i < numbers2.length; i++) {
numbers2[i] = i + 1;
}
🧠 기억 포인트:
[]
가 있으면 배열[]
안에 넣어서 만들면 초깃값까지 가능
🧱 객체 & 메서드
객체란?
- 현실 세계의 무언가를 프로그래밍으로 표현한 것
- 속성(변수) + 행동(함수) 조합
let counter = new Counter(); // 생성자
객체 멤버 접근 방법
object.property;
object.method();
메서드란?
- 객체 안의 함수
let person = { name: "Monday", greet: function() { console.log("안녕 " + this.name); } }
🧠 this는 객체 자기 자신
this.name
= 이 객체의 name 속성
🌐 전역변수 / 지역변수
- 전역변수: 함수 밖에서 선언 → 어디서든 접근 가능
- 지역변수: 함수 안에서 선언 → 함수 밖에선 안 보임
let a = 10; // 전역
function test() {
let b = 20; // 지역
}
🧮 매개변수 (Parameter)
- 함수에 입력값을 넘겨주는 통로
🧠 기억: 매개변수는 함수 선언부에 쓰는 변수 이름function add(x, y) { return x + y; }
🔁 this
- 현재 객체 자기 자신을 가리킴
- 문맥마다 달라짐
- 일반 객체: 해당 객체
- 생성자 함수: 새로 만들어진 객체
- 이벤트 핸들러: 이벤트 발생한 DOM 요소
🎯 요약할 때 쓸 전략
- 예시 코드 짧게 써보기
- 한 줄 정의:
forEach → 배열 순회 / 함수에 자동 전달
- 두 개념 차이 있는 건 항상 비교해보기 (
while
vsdo while
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