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바스크립트 객체(Object) - 기초 개념 설명
1. 객체란?
객체는 여러 관련된 정보(데이터)를 하나로 묶어서 관리하는 방법입니다.
쉽게 설명하자면:
- 현실 세계의 '물건'이나 '개념'을 프로그래밍으로 표현한 것
- 여러 속성(특징)과 기능을 가진 데이터의 묶음
2. 객체가 필요한 이유
예를 들어, 학생 정보를 저장한다고 생각해보세요:
객체 없이 변수로만 저장한다면:
studentName = "홍길동";
studentAge = 20;
studentGrade = "A";
이 방식의 문제점:
- 관련 데이터가 흩어져 있어 관리가 어려움
- 여러 학생 정보를 저장하려면 변수명을 계속 바꿔야 함 (student1Name, student2Name...)
객체를 사용하면:
- 관련 정보를 하나로 묶을 수 있음
- 각 정보에 이름을 붙여 의미를 명확히 할 수 있음
- 데이터와 관련된 기능(함수)도 함께 묶을 수 있음
3. 객체의 구성 요소
객체는 두 가지 주요 구성 요소를 가집니다:
1) 프로퍼티(Property)
- 객체의 특징이나 속성을 나타내는 값
- '키(key):값(value)' 쌍으로 구성됨
- 키는 항상 문자열(또는 Symbol)이며, 값은 어떤 자료형이든 가능
예를 들어, 사람 객체의 프로퍼티는:
- 이름(name): "홍길동"
- 나이(age): 25
- 직업(job): "개발자"
2) 메서드(Method)
- 객체가 수행할 수 있는 동작(행동)
- 객체 내부에 정의된 함수
- 객체의 프로퍼티를 사용하거나 조작하는 기능을 함
예를 들어, 사람 객체의 메서드는:
- 인사하기(greet): "안녕하세요, 홍길동입니다."라고 말하는 기능
- 나이 계산하기(calculateAge): 출생년도로부터 나이를 계산하는 기능
4. 객체 생성 방법
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를 만드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객체 리터럴을 사용하는 것입니다.
객체 리터럴:
- 중괄호
{}
를 사용하여 객체를 직접 생성 - 중괄호 안에 쉼표로 구분된 프로퍼티 목록을 작성
- 각 프로퍼티는
키: 값
형태로 정의
5. 객체 접근 방법
객체의 프로퍼티나 메서드에 접근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:
1) 점 표기법(Dot Notation)
- 가장 일반적이고 간단한 방법
객체이름.프로퍼티이름
형태로 사용
2) 대괄호 표기법(Bracket Notation)
객체이름["프로퍼티이름"]
형태로 사용- 프로퍼티 이름에 특수문자가 있거나, 변수에 저장된 문자열로 프로퍼티에 접근할 때 유용
6. this 키워드
this
는 "현재 객체"를 가리키는 특별한 키워드입니다.
- 메서드 내에서 사용할 때,
this
는 해당 메서드를 포함하는 객체를 가리킴 - 객체의 다른 프로퍼티에 접근할 때 사용
7. 객체 프로퍼티 변경하기
객체 생성 후에도:
- 새 프로퍼티를 추가하거나
- 기존 프로퍼티 값을 변경하거나
- 프로퍼티를 삭제할 수 있음
'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S] JavaScript 개념 요약 (0) | 2025.04.09 |
---|---|
[JS] 자주 쓰는 **배열 내장 객체(Array)** 메서드 정리 (0) | 2025.04.08 |
[JS] 객체 괄호 헷갈리는 거 (0) | 2025.04.07 |
[JS] 함수 기본 개념 (0) | 2025.04.04 |
[JS] 자바 학습전략+반복문 기본 (0) | 2025.04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