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변수란?
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이름이 붙은 메모리 공간
값을 저장하거나 나중에 바뀔 수 있는 데이터를 담기 위해 사용
let name = "철수"; // 사람 이름을 변수에 저장
📌 이렇게 하면 "철수"
라는 데이터를 name
이라는 이름으로 재사용할 수 있어요.
2. 변수 선언 방법
let x = 10; //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
let y; // 선언만 하고
y = 20; // 나중에 값을 넣을 수도 있음
📌 let
은 블록 범위 변수 선언 방식이고, 값을 바꿀 수 있어요.
3. const: 상수
변하지 않는 값을 저장할 때 사용
const pi = 3.14;
// pi = 3.14159; ❌ 오류! const는 값을 바꿀 수 없음
📌 단, const
로 선언한 배열이나 객체의 내부 값은 수정 가능합니다.
const arr = [1, 2];
arr.push(3); // 가능
4. 변수 이름 규칙
- 숫자로 시작 ❌ (
let 1name = "철수"
→ ❌) _
,$
허용됨 (let _id
,let $value
→ ⭕)- 예약어 사용 금지 (
let let = 10;
→ ❌)
5. 데이터 타입
기본형 (Primitive)
타입 | 예시 | 설명 |
---|---|---|
number | let x = 10; |
숫자 |
string | let s = "hi"; |
문자열 (따옴표 필요) |
boolean | let b = true; |
참/거짓 값 |
undefined | let a; |
값이 할당되지 않음 |
null | let n = null; |
비어 있음을 "의도적으로" 표시 |
symbol | Symbol("id") |
고유한 값 (잘 안 씀) |
📌 typeof
연산자를 사용하면 타입을 확인할 수 있어요.
console.log(typeof "hello"); // string
console.log(typeof 3); // number
6. 형 변환
문자열 → 숫자
let a = "3";
let b = Number(a); // "3" → 3
숫자 → 문자열
let c = 4;
let d = String(c); // 4 → "4"
숫자 → 불리언
let e = 0;
let f = Boolean(e); // 0 → false / 0이 아니면 true
📌 Boolean(값)
은 참/거짓 판단할 때 유용합니다.
7. 산술 연산자
let a = 10;
let b = 3;
console.log(a + b); // 13
console.log(a % b); // 1 → 나머지 연산
📌 %
는 짝수/홀수 판별에 자주 사용됩니다.
8. 비교 연산자
console.log(5 > 3); // true
console.log(5 == "5"); // true (값만 비교)
console.log(5 === "5"); // false (값 + 타입 비교)
📌 ===
를 쓰는 습관을 들이세요! (타입까지 비교하기 때문)
9. 논리 연산자
true && false // false
true || false // true
!true // false
📌 조건이 복잡할 때 조합해서 사용합니다.
10. 조건문 (if)
let age = 20;
if (age >= 18) {
console.log("성인입니다.");
} else {
console.log("미성년자입니다.");
}
📌 조건에 따라 다른 코드를 실행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.
11. switch문
let fruit = "banana";
switch (fruit) {
case "apple":
console.log("사과입니다.");
break;
case "banana":
console.log("바나나입니다.");
break;
default:
console.log("모르는 과일입니다.");
}
📌 특정 값에 따라 여러 조건 중 하나를 실행할 때 사용합니다.
12. 반복문 (for, while)
for문
for (let i = 0; i < 5; i++) {
console.log(i); // 0 ~ 4
}
while문
let i = 0;
while (i < 3) {
console.log(i);
i++;
}
do while문
let i = 3;
do {
console.log(i);
i--;
} while (i > 0);
📌 do-while
은 일단 한 번은 실행하고 조건을 나중에 검사합니다.
13. 배열
let arr = [1, 2, 3];
console.log(arr[0]); // 1
// for문으로 배열 초기화
let nums = new Array(5);
for (let i = 0; i < nums.length; i++) {
nums[i] = i + 1;
}
console.log(nums); // [1,2,3,4,5]
📌 배열은 여러 값을 하나의 변수에 저장할 때 사용합니다.
14. 객체
let person = {
name: "Jin",
age: 30,
sayHello: function() {
console.log("안녕하세요, " + this.name);
}
};
person.sayHello(); // 안녕하세요, Jin
📌 객체는 속성과 기능을 하나로 묶은 구조입니다.
15. this 키워드
현재 객체 자신을 가리킴
let user = {
name: "철수",
greet: function() {
console.log("안녕, 나는 " + this.name);
}
};
user.greet(); // 안녕, 나는 철수
16. 함수와 매개변수
function add(a, b) {
return a + b;
}
console.log(add(3, 5)); // 8
📌 함수는 반복되는 작업을 재사용하기 위해 사용합니다.a
, b
는 함수에 전달되는 매개변수 (parameter)입니다.
17. break / continue
for (let i = 0; i < 5; i++) {
if (i === 3) break;
console.log(i); // 0,1,2
}
for (let i = 0; i < 5; i++) {
if (i % 2 === 0) continue;
console.log(i); // 홀수만 출력
}
📌 break
는 반복문 종료, continue
는 해당 반복만 건너뜁니다.
18. 전역변수 vs 지역변수
let global = "전역";
function test() {
let local = "지역";
console.log(global); // 가능
console.log(local); // 가능
}
test();
console.log(local); // ❌ 에러! 지역 변수는 밖에서 접근 불가
📌 let
, const
는 블록 스코프를 가지므로 주의!
'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S] 자바스크립트 기초 개념 정리 최종 (0) | 2025.04.09 |
---|---|
[JS] JavaScript 개념 요약 (반복문부터) (0) | 2025.04.09 |
[JS] 자주 쓰는 **배열 내장 객체(Array)** 메서드 정리 (0) | 2025.04.08 |
[JS] 객체 (0) | 2025.04.07 |
[JS] 객체 괄호 헷갈리는 거 (0) | 2025.04.07 |